


▲ (왼쪽부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이형민 교수, 엄경호 박사, 강중훈 석박통합과정, 김민수 석박통합과정
전기전자공학부 이형민 교수의 융합회로설계연구실(BASIC Lab) 소속 연구원들이 2026년 2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세계 최고 권위의 반도체 집적회로 설계 학회인 IEEE International Solid-State Circuits Conference (ISSCC)에 논문 3편이 채택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23년부터 매해 ISSCC에 논문이 채택되는 성과를 이어오며, 연구실의 꾸준한 연구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ISSCC 2026에서 발표될 연구는 MED (Medical) 분과 2편과 PM (Power Management) 분과 1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바이오메디컬 인터페이스 및 전력 관리 기술에 대한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담고 있다.
MED 분과, Session 36 Neural and Biomedical Interfaces, 36.8
논문명: An 80×80μm2/Pixel 55.48dB-Wide-DR 400-Pixel Subretinal Prosthesis SoC with Power-Aware Light Adaptation and Charge-Recycling Local Dynamic Supply
엄경호 박사는 "주변 밝기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인공망막 SoC"를 개발하여, 인공망막 이식 환자가 보다 더 넓은 조도 범위에서 물체를 안정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MED 분과, Session 36 Neural and Biomedical Interfaces, 36.7
논문명: A 90.7%-Efficiency Hybrid Optogenetic Stimulation System with Sub-Threshold Electrical Stimuli Achieving 70.6% Optical Energy Saving
강중훈 석박통합과정 학생은 "역치 이하 전기 자극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광유전학 신경 자극 시스템"을 개발하여, 광유전학 자극에 역치 이하 전기 자극을 보조적으로 인가함으로써 자극에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줄이면서도 높은 효율을 보이는 신경 자극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PM 분과, Session 16 Energy Harvesting, Piezo and Chargers, 16.9
논문명: A 96.6% Single-Mode Hybrid Dual-Path Buck-Boost Converter with Conduction Loss Reduction through Conversion-Ratio-Based Adaptive 3-Phase Control
김민수 석박통합과정 학생은 "변환비 기반 적응형 3상 제어로 전도 손실을 저감한 96.6% 효율의 단일모드 하이브리드 듀얼패스 벅-부스트 컨버터"를 개발하여, 동작 조건에 따라 제어 방식을 유연하게 조정함으로써 전도 손실을 줄이고 고효율 전력 변환을 구현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ISSCC는 매년 약 4000여 명의 학계 및 산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국제 학회로, 최신 연구 결과가 집중적으로 발표·검증되는 장이며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올림픽’으로 불린다. 이형민 교수는 "이번 성과는 집적회로 설계 분야에서 우리 연구팀이 지속적으로 기울여 온 노력의 결실입니다. 앞으로도 연구팀과 함께 혁신적인 연구를 이어가며 더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가고자 합니다."고 소감을 밝혔다.